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 정치부 전민영 기자 함께 합니다. 오세훈 서울시장이 보이네요. "생수 대 사이다" 무슨 말인가요? <br><br>오세훈 서울시장이 자신을 생수에, 다른 정치인들을 사이다에 비유한 건데요. <br> <br>"톡 쏘는 사이다보다 밋밋해도 몸에 필요한 생수 같은 정치를 하겠다"고 다짐했습니다.<br> <br>참모들과 주변에서 강성, 사이다 발언을 하라고 조언해도 자신만의 길을 묵묵하게 가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Q. 사이다는 그럼 구체적으로 누굴 가리키는 겁니까? <br><br>대표적으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를 저격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이 전 대표, 말을 시원시원하게 한다고 한때 별명이 사이다였죠. <br> <br>오 시장, 얼마 전엔 이 전 대표를 향해, "정치 자체를 그만 두라"고 했었잖아요. <br> <br>오늘은 "정당을 일극 체제로 바꾸고도 잘못을 모른다"며 쓴소리를 이어갔습니다.<br> <br>이 전 대표를 본격적으로 때리며 여권 대선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Q. 여권을 향해서는 별 이야기가 없었나요? <br><br>오 시장, "'정치권에 도대체 사람 같은 사람이 씨가 말랐다'는 어느 지식인의 말이 가슴을 후벼판다"며 사실상 여권도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또 "팬덤이 파이터를 다시 극단으로 몰아가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"고 지적했는데요.<br> <br>오 시장, 상대적으로 이 전 대표나 한동훈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에 비해 팬덤이 약하다는 평가가 있죠. <br> <br>오히려 정치인의 팬덤이 강할수록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에둘러 두 사람을 비판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Q. 두 번째 주제입니다. 김진표 전 국회의장, 발빼기요. 무슨 뜻이죠? <br><br>김진표 전 의장, 회고록에서 윤 대통령이 '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'을 언급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됐죠. <br> <br>어제 "의도와 달리 사회적 논란이 돼 매우 유감"이라며 진화에 나섰는데요. <br> <br>민주당 일각에선 이제와서 발을 뺀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 민주당 의원은 "굳이 해명을 했어야 했느냐"며 "김 샌다"는 반응을 보였고, 다른 의원도 "김 전 의장이 무엇 때문에 몸을 사리는지 모르겠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Q. 김 전 의장이 논란을 좀 진화해보려 한 것 같은데, 오히려 더 커지고 있네요? <br> <br>네, 민주당에선 오늘도 "유도되고 조작된 건 참사가 아니라 대통령의 의식 구조 아니냐"고 몰아붙였습니다. <br> <br>[강유정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] <br>"국민들은 이제야 대통령과 행정부의 비상식적 대응이 그릇된 사고 구조 때문임을 알게 되었습니다. 전직 여당 의원이 '극우 유튜브 좀 그만 보시라'라며 울먹일 정도입니다." 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시죠. 서버가 마비됐어요. 어디죠? <br><br>탄핵 서버입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국회 국민동의청원 사이트에 동시접속자가 몰려 서버가 마비될 정도인데요. <br><br>특히 앞서 전해드린 김진표 전 의장의 회고록 내용 공개 이후 청원 참여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열흘 만에 청원 동의가 70만 명을 돌파했고요. <br> <br>지금도 사이트에 들어가려면 1시간 이상 대기해야 합니다.<br><br>민주당에선 서버 증축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.<br> <br>Q. 청원 동의 움직임이 아주 거세네요. <br><br>네, 야권 지지자들도 몰려가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 팬카페에서는 동의 인증 릴레이가 펼쳐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"주변에도 널리 퍼날라 달라", "천만까지 가자"며 청원을 독려하고 있습니다.<br> <br>Q. 민주당 지지층에서 적극 나서고 있긴 하네요. 그럼 이 청원은 어떻게 되는 거죠? <br><br>국회 법사위 청원심사소위에서 먼저 심사하게 되는데요. <br> <br>청원소위에 속한 한 의원에게 물어보니까요. <br> <br>청원을 안건으로 상정해 심사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자동폐기되지만, 이 건의 경우 국민적 관심사가 집중돼 어떻게 다룰지 고민을 하고 있다 합니다.<br> <br>민주당, "당에서 추이를 보고 있지만 어떤 입장을 낼지는 논의한 바 없다"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.<br> <br>하지만 한 지도부 관계자에게 물어보니까요. <br> <br>"국민 뜻을 담아 탄핵소추안 발의를 검토할 수 있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국민의힘 원내 관계자는 "민생 어려움을 살피기 위해 만든 국회 청원제도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"는 반응을 보였는데요.<br> <br>22대 총선 이후 탄핵이라는 단어가 여기저기서 튀어나오고 있죠. <br> <br>국민 마음을 잡지 못하고 있는 정부여당도, 툭하면 탄핵 카드를 흔드는 야권도 못미덥기는 마찬가지 같습니다. (마찬가지)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<br>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